리뷰6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 어떤 개발자가 될 것인가? -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4.0>를 관람하며 진로 고민으로 심란해진 마음에 안정을 찾기 위해 백남준 아트센터에 방문했다. 관람한 전시는 랜덤 액세스 프로젝트 4.0>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세상을 주제로 미디어 아트 작품을 여럿 전시하고 있었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작품은 얀투 작가의 진행 중인 설치>였다. 이 작품은 자동 운반 차량이 전시장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오브제를 선택, 운반, 전시, 철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차량이 운반하는 오브제들 중에서는 예술 작품 뿐만 아니라 의자, 택배 박스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 자동 운반 차량은 예술품과 예술품이 아닌 것을 구별하지 못한다. 이는 기계가 가치 판단에 있어 인간의 한계를 벗어났으나 동시에 인간의 한계를 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는 개발자를 꿈꾸고 있다. 어떤 개발자가 될 것인지, 어떤 데이터.. 2025. 6. 3. [리뷰] 멀티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읽게 된 계기백엔드 개발도 하긴 하지만, 프론트엔드 개발을 주로 하다보니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져 객체지향 패러다임은 잘 활용하지 않았다. 자바스크립트에서 class를 이용해 객체지향적으로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막상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는 잘 사용하지 않으니 그 필요성과 활용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그러던 중 멀티패러다임을 활용해 적재적소에 객체지향과 함수형을 활용하며 개발을 할 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책을 읽게 되었다. 멀티패러다임이라는 것은 무엇이라고 딱 정의된 개념이 아니다.그러나 이 책은 우선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반복자 패턴과 함수형 패러다임의 일급 함수(함수를 변수에 할당하고, 함수의 인자로 받을 수 있음)가 만나 map, filter, redu.. 2025. 5. 22. 멀티패러다임 프로그래밍 책을 시작하며 한빛미디어 서평단에 선정되어 책을 받았다.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며 자바스크립트는 절차지향인지 객체지향인지 함수형인지 궁금한게 많았다.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지향과 함수형의 속성을 모두 가진 멀티패러다임 언어라는 것을 알게되고, 어느 경우에는 객체지향으로 코드를 짜고 어느 경우에는 함수형으로 코드를 짜는게 좋을지 고민을 하게 됐다.그러던 중 이 책을 통해 그 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 서평단을 신청했는데, 감사하게도 선정이 되어 책을 선물받았다..타입스크립트로 프론트 개발도 하고 백엔드 개발도 해 본 입장에서 비교하며 책을 읽어보고싶다.연휴 동안 집을 비우느라 발송해주신 것에 비해 늦게 수령했다.얼른 읽어야지.. ^^ 2025. 5. 14. [리뷰] 제품을 성공시키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비밀 프로덕트 매니저란 뭘 하는 사람일까?이전까지는 기획자, PM이 따로 없이 개발자들끼리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기획자, PM, 디자이너 등과 함께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그러다보니 PM이란 어떤 직무이고,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해졌다.그러던 중 길벗출판사에서 진행하는 길벗 24차 개발자 리뷰어 모집에 선정되어 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프로덕트 매니징이란?프로젝트 혹은 프로덕트를 매니징 한다고 하는데, 프로덕트를 매니징하는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고 싶었다.책을 읽어보니 프로덕트 매니징이란 뭐 하나라고 정의하기가 힘들 정도로 다양한 일을 통 틀어 부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축약해서 말해보자면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AtoZ로 프로덕트를 손보는 일을 프로덕트 매니징.. 2025. 4. 27. [리뷰] 그림으로 이해하는 시스템 설계 운이 좋게도 길벗 IT 리뷰어로 선정되어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최근 하는 프로젝트에서 시스템 설계를 할 일이 생겼는데, 시스템 설계란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이 오지 않았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니 희미하게나마 시스템 설계란 어떤 것이며, 설계는 어떻게 하고 설계서는 어떻게 쓰고 설계서 관리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 있었다. 주요 내용1장 시스템 설계가 차지하는 위치2장 시스템 설계란?3장 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주는 개념4장 전체 설계5장 입출력 설계6장 데이터베이스 설계7장 로직 설계8장 네트워크 설계9장 서버 설계10장 설계서 활용 전체적으로 시스템 설계 과정에 대해서 훑는다. 그러면서도, 요즘 많이 사용되는 MSA 구조를 사용할 때, 온프레미스 사내 서버가 아닌 클라우드를.. 2025. 2. 4. 5일만에 SQLD 따기 불안했는데 붙었다. 간신히 턱걸이로… 취득 배경 및 당시 상황인턴을 하던 중 프론트엔드 개발자도 DB와 백엔드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프론트엔드에서는 DB를 다룰 일이 별로 없지만 그래도 DB 구조를 알아야 백엔드 개발자와 소통할 때 조금 더 편할 것 같아, 인턴 중 SQLD 취득을 목표로 공부했다!전공자긴 하지만 데이터베이스 수업은 들은 적 없고, 백엔드가 아니라 프론트엔드 위주로 공부해서 SQL이나 DB도 다뤄본 적이 거의 없었다. DB다뤄본 적은 있는데 ORM 써서 SQL은 안써봄.. 정보처리기사를 땄었는 데 이 때 정처기 공부한다고 DB 정규화 DDL DCL 이런 개념 공부한 게 배경지식의 전부이다.점수를 보면 1과목은 거의 다 맞췄고 2과목은 거의 턱걸이 수준으로 다 틀렸는데, 정보처리.. 2024. 12. 9. 이전 1 다음